트럼프家 지원 WLFI 관련 프로젝트 중 어디에 주목할까

현재 이미지: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LFI)

WLFI 토큰 첫 유통 시작
다양한 블록체인들 제휴

트럼프 가문이 주도하는 가상자산 프로젝트 월드리버티파이낸셜(WLFI) 토큰 초기 발행량의 20%를 시장에 풀면서, 관련 프로젝트들에 투자자들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WLFI는 자체 스테이블코인 USD1을 기반으로 블록체인 및 디파이(탈중앙금융) 플랫폼과 협력하고 있다.

USD1은 리스타다오(Lista DAO) 생태계에 지원되어 담보 자산과 유동성 수단으로 쓰이고 있으며, 블록스트리트는 USD1 전용 런치패드를 운영한다. WLFI 최고기술책임자(CTO)가 공동 창업자로 참여한 돌로마이트(Dolomite) 역시 USD1을 중심으로 한 디파이 서비스를 지원한다.

지난 5월 이오스(EOS)에서 이름을 바꾼 볼타(A)와 600만달러(약 84억원) 규모 제휴를 체결했으며, 볼타 토큰 시가총액은 약 7억6800만달러(약 1조원)이다. 실물자산(RWA) 특화 블록체인 플럼(Plume)도 USD1을 준비금으로 채택해 협력 중이며, 시가총액은 약 2억3500만달러(약 3290억원) 수준이다.

9월 1일에는 솔라나 네트워크에서 USD1이 공식 통합돼 레이디움, 봉크(BONK.fun), 카미노와 연계됐다. 현재 봉크 토큰은 약 17억달러(약 2조3800억원), 레이디움은 약 9억달러(약 1조2600억원), 카미노는 약 1억5200만달러(약 2130억원) 시가총액을 기록 중이다.

이외에도 온도 파이낸스, 에테나, 스테이크스톤, 팔콘 파이낸스 등 다양한 프로젝트가 USD1 또는 WLFI와 협력하고 있다. 밈 분야에서는 빌드온(BUILDon)이 USD1 기반 런치패드 플랫폼 구상을 밝힌 바 있다.

WLFI가 9월 시장 흐름을 주도할 경우, 이들 관련된 코인에 유동성과 투자 심리가 확산될지 주목된다.

– 디지털 자산은 고위험 상품으로, 투자금의 일부 또는 전부가 손실될 수 있습니다.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트럼프家 WLFI 코인 초기 유통량 시장 예상치 5배에 불안한 출발

온도 파이낸스, 美주식·ETF 토큰화 플랫폼 ‘글로벌 마켓’ 출시

홍콩 푸싱, 볼타 OS 기반 홍콩 상장 시스람메디컬 주식 토큰화 발행

에릭 트럼프 “WLFI 코인, 사전판매가 대비 20배로 성공”

금융위, 가상자산 불공정거래 첫 과징금 부과

빗썸, 믹스마블(MIX) 코인 상장폐지 예정

유니스왑, 미국 와이오밍에 법인 설립안 최종 투표 진행

리플, 아프리카에 달러 스테이블코인 RLUSD 출시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9/4 미국 이더리움 현물 ETF: 538억원 순유출

이더리움 ETF

비트마인, 이더리움 8만개 추매…총 194만 ETH 보유

비트마인 이머전 테크놀로지스(BMNR)

9/4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 4216억원 순유입

비트코인 현물 ETF

인기뉴스

1

제타체인, 카이아 테스트넷 연결 “원화 스테이블코인 시장 진출” 계획

제타체인(ZetaChain)
2

트럼프家 지원 ‘아메리칸 비트코인’ 나스닥 상장

아메리칸 비트코인
3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4

온도 파이낸스, 美주식·ETF 토큰화 플랫폼 ‘글로벌 마켓’ 출시

온도파이낸스(ONDO)
5

트럼프家 ‘아메리칸 비트코인’ 나스닥 상장 첫날 16%↑

아메리칸 비트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