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8월 1일부터 국가별·산업별 ‘이중 관세’ 검토

구리·의약품·반도체 등 주요 수입품 직격
日·EU 등과 협상 충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8월 1일부터 국가별 관세와 함께 산업별 관세도 동시 발효를 준비하고 있다고 블룸버그가 19일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무역 구조 재편을 본격화하려 시도하고 있으며, 수입 제품에 대한 광범위한 관세 부과를 예고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우선 구리에 대해 50%의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며, 같은 날 100개국 이상에서 수입되는 상품에도 ‘상호주의 관세’가 적용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함께 의약품과 반도체에도 조만간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16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의약품에 대해서는 이달 말께 낮은 수준의 관세로 시작해 향후 1~2년간 점진적으로 상향 조정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달에는 최대 200%까지 관세를 인상할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 구리·의약품·반도체·목재 등 순차 발표 예정

트럼프 대통령 측은 구리를 시작으로 △목재 △반도체 △핵심 광물 △의약품 등의 순으로 산업별 관세를 발표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다만 구체적인 일정은 유동적이다.

현재까지 확정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의약품: 제네릭 의약품 80~90종 및 원료물질에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이 초안에 포함돼 있다. 테바, 산도즈 등 제네릭 의약품 기업은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오젬픽, 키트루다 등 브랜드 의약품이 포함될 경우 화이자, 머크, 일라이릴리 등 대형 제약사도 영향을 받는다.
  • 반도체: 중국산 반도체에 대한 기존 관세에서 일부 예외를 둔 상황으로, 애플, 삼성전자의 스마트폰과 노트북은 물론 테슬라, GM, 포드 등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의 전자부품 수입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 구리: 정제 구리와 반제품 전반이 대상이며, 전력망, 데이터센터, 군사 장비 등에 사용되는 광범위한 산업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미국 내 구리 광산 업체들은 워싱턴에서 관세로 인한 생산 차질을 막기 위한 대책을 논의 중이다.
  • 목재: 캐나다산 목재에 대한 기존 관세와 별도로 진행 중인 조사에서는 수입 가구 및 내장재에 대해 최대 100% 관세 부과 요청도 제기됐다.
  • 핵심 광물: 희토류 등 핵심 광물은 중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정책이 추진 중이나, 미국 내 생산기반이 미약해 관세 부과 시 공급난 우려도 제기된다.

◇ 항공기·드론·태양광 등도 관세 검토

이 밖에도 상무부는 △상용 항공기 및 제트엔진(5월 착수) △드론 및 폴리실리콘(7월 착수) △중대형 화물트럭(4월 착수) 등에 대해서도 관세 부과를 위한 조사 절차를 진행 중이다. 상무부는 산업별 관세를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해 국가안보 차원에서 추진 중이며, 국가별 관세는 무역대표부가 별도로 협상하고 있다.

유럽연합(EU), 일본, 인도 등은 미국과의 협상에서 상호주의 관세와 산업별 관세를 모두 낮추려는 입장을 취하고 있으나, 담당 기관이 달라 협상 과정이 난항을 겪고 있다.

◇ 금융시장, 단기 협상용 ‘말폭탄’? 아닌 실질 조치?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계획은 일부 투자자들이 단기 협상용 압박으로 간주해온 기존 인식과 달리, 실제 시행에 들어가며 금융시장에 압박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한편, 철강·알루미늄·자동차 등 기존 관세 대상 품목 외에 추가적으로 전체 수입의 30~70%까지가 산업별 관세에 포함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트럼프, “공약 이행” 강조…지니어스법 포함 6개 입법 성과 열거

트럼프, 스테이블코인 법안 서명 “미 금융·암호화폐 지배력 강화”

트럼프, AI 정책 가이드라인 발표 예정

트럼프, 미국 퇴직연금 시장에 암호화폐 투자 허용 추진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7/19 미국 이더리움 현물 ETF: 5585억원 순유입

7/19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 5000억원 순유입

트럼프, “공약 이행” 강조…지니어스법 포함 6개 입법 성과 열거

디지털자산 헤드라인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이더리움 ETF

7/19 미국 이더리움 현물 ETF: 5585억원 순유입

비트코인 현물 ETF

7/19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 5000억원 순유입

인기뉴스

1

바이낸스, 체인베이스(C) 코인 현물마켓 상장·HODLer 에어드랍 예정

바이낸스
2

도지코인 선물 미결제약정 사상 최대치, 레버리지 수요 증가

3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이코노미블록
4

월드리버티파이낸셜(WLFI) 코인 “6~8주 내 거래 활성화 목표”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LFI)
5

트럼프, 8월 1일부터 국가별·산업별 ‘이중 관세’ 검토

트럼프, 관세 행정명령 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