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1일 대규모 관세 시행 예고
멕시코·EU에 30% 관세 통보
캐나다·브라질 등에도 고율 부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요 교역국들을 상대로 고율 관세 부과를 예고하며 협상 막판 압박 수위를 끌어올리고 있다고 13일 블룸버그가 보도했다. 트럼프는 8월 1일부터 멕시코와 유럽연합(EU)에 3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통보하며, 이들 국가가 불공정 무역 및 마약 유입 차단에 실패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는 12일 멕시코 대통령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유럽연합 집행위원장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에게 각각 서한을 보내 관세율을 공식화했다. 이와 함께 상대국의 대응에 따라 추가 인상 가능성도 시사했다.
미국은 앞서 캐나다, 일본, 한국 등 동맹국에도 상호 관세를 예고했으며, 브라질에는 5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브라질의 경우 미국과 무역 흑자가 없음에도 정치적 이유로 고관세 대상에 포함됐다.
트럼프 행정부는 협상 타결을 위한 마지막 시한을 7월 9일에서 8월 1일로 연장했으며, 그 사이 국가별 개별 협상과 압박이 집중되고 있다. 미국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는 일본을 방문 중이며, EU 협상단은 자동차 및 농산물 관세를 중심으로 미국과 접점을 모색하고 있다.
캐나다는 에너지와 USMCA 협정 대상 품목을 제외하고 35% 관세를 부과받게 된다. 그러나 백악관 무역 보좌관 피터 나바로는 캐나다에 대해 “협상 여지는 열려 있다”고 밝혔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트럼프는 관세 인상 배경에 대해 “미국의 무역 적자는 부당하며, 상대국들이 공정하게 협상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일부 국가는 이번 상호 관세를 ‘협상용 카드’로 보고 있지만, 전직 상무장관 윌버 로스는 “트럼프는 실제로 실행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한편 미국은 베트남, 영국, 중국과 부분적 합의 또는 휴전을 맺었지만, 상당수는 일방적 통보에 가깝고 협상 내용도 불확실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보수 성향 싱크탱크 AEI의 마이클 스트레인은 “트럼프가 실제로 행동에 나설 경우를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