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코 롤업 서밋에서 본 10가지 이더리움 확장 방향

현재 이미지: 타이코(Taiko)

타이코 “프리컨펌·ZK·부스터 롤업 등 실용 기술” 강조
“속도보다 중요한 건 사용성과 현실성”

이더리움 확장 솔루션 타이코(Taiko)가 EthCC 2025 행사와 함께 프랑스 칸에서 ‘베이스트 롤업(Based Rollup) 서밋’을 열고, 이더리움이 더 빠르고 실용적으로 사용되기 위한 10가지 주요 방향을 제시했다.

이번 행사에는 이더리움재단, 셀로(Celo), SSV 네트워크, 바운들리스(Boundless) 등 주요 프로젝트 인사들이 참여해, 프리컨펌(preconfirmation), 부스터 롤업(Booster Rollup), 기업 적용 방안 등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했다.

다음은 현장에서 발표된 핵심 내용 10가지다.

1. 프리컨펌은 이미 일상 속에 있다
타이코 최고운영책임자 호아킨 멘데스는 “커피 결제를 할 때처럼, 우리는 이미 프리컨펌 개념을 사용하고 있다”며, 거래가 즉시 처리된 것처럼 보이게 해주는 구조로 사용자 경험을 개선한다고 설명했다.

2. 기술보다 사용자 요구가 더 중요하다
바운들리스 최고경영자 시브 산카르는 “ZK 기술 자체보다 중요한 건, 사용자들이 무엇을 원하느냐는 점”이라며 “경쟁 상대는 다른 블록체인이 아니라 아마존 같은 빅테크”라고 말했다.

3. URC로 검증자 참여 문턱 낮췄다
SSV 네트워크 최고경영자 알론 무로크는 ‘유니버설 레지스트리 컨트랙트(URC)’를 통해 검증자가 쉽고 빠르게 롤업 서비스에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고 밝혔다. 노드 수에 상관없이 등록 절차가 동일하게 간소화됐다고 강조했다.

4. 이더리움이 블록 생성 시간을 줄일 수 없는 이유
타이코 최고경영자 다니엘 왕은 “이더리움은 100만 명이 넘는 검증자가 있어 블록 시간을 1~2초로 줄이면 동기화와 장비 부담이 커져 탈중앙성이 무너질 수 있다”며, 대신 프리컨펌 구조가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설명했다.

5. 프리컨펌이 성공했다는 기준은?
성공의 기준으로는 △운영 중인 롤업에서 프리컨펌 기능이 적용되고 △이더리움 메인넷 프로포저가 참여하며 △전체 지분의 20% 이상이 이를 선택하는 경우 등이 제시됐다. 사용자 경험과 수수료 절감도 주요 평가 기준으로 언급됐다.

6. 기업 도입과 프라이버시가 핵심 과제다
이더리움재단 공동집행이사 토마시 스탄착은 “최종 사용자는 대부분 웹2를 통해 접속하기 때문에, 기반 블록체인은 신뢰성과 투명성이 보장돼야 한다”며, 기업 채택과 규제 협력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7. 이더리움의 이야기, 더 매력적으로 바뀌어야 한다
셀로 최고경영자 마렉 올셰프스키는 “우리는 잘못된 타깃에게 메시지를 보내고 있는 건 아닌지 돌아봐야 한다”며, 단순한 스마트계약 플랫폼을 넘어 이익과 가치를 전달하는 내러티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8. 수직 확장 한계… 수평 확장이 해답
이더리움재단 연구원 저스틴 드레이크는 “속도를 조금 더 높이는 걸로는 부족하다”며, 여러 롤업이 동시에 작동하는 수평 확장 구조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유 시퀀서(shared sequencer), 저비용 SNARK 검증 등이 필요한 요소로 제시됐다.

9. 부스터 롤업, 새로운 확장 방식 제시
타이코 최고기술책임자 브레흐트 데보스는 “부스터 롤업은 이더리움 메인넷과 직접 연결돼 별도 브릿지 없이도 작동할 수 있다”며, 확장성과 조합성을 함께 확보할 수 있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10. 진정한 확장은 ‘누구나 쉽게 쓰는 수준’
어베일(Avail), 오픈제플린(OpenZeppelin), 루반(Luban) 관계자들은 “TPS 수치를 올리는 것보다 중요한 건 일반 사용자가 아무 부담 없이 쓸 수 있는 사용성 확보”라고 말했다. 전 세계 어디서든 쓸 수 있는 안정적이고 검열에 강한 시스템 구축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타이코는 프리컨펌, 부스터 롤업 등 자사가 제시한 기술이 “빠르고 쉬우며 글로벌하게 쓸 수 있는 이더리움”을 향한 본격적인 시작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앰버 인터내셔널, 암호화폐 투자 위해 370억원 투자 유치

전 이더리움 개발자 “3가지 요인으로 상승 촉발할 것”

유명 이더리움 롱 포지션 투자자, 8만 ETH 코인베이스로 이체

7/4 미국 이더리움 현물 ETF: 2015억원 순유입

앰버 인터내셔널, 암호화폐 투자 위해 370억원 투자 유치

바이낸스 월렛, 붐(BOOM) TGE 이벤트 예정

타이코 롤업 서밋에서 본 10가지 이더리움 확장 방향

트럼프 ‘빅 뷰티풀 법안’에 비트코인 강세론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업비트

업비트·빗썸, 스트라이크(STRIKE) 코인 거래유의종목 지정

미국 공화당, 공식적으로 가상화폐 지지선언

트럼프 “10~12개국에 서한 보낼 계획…8월부터 10~70% 관세 거론”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코인 이미지

코인시장 규제 완화 기대감, 한때 비트코인 11만달러 재돌파

크립토 고래

비트코인, ‘고래 매도·기관 매수’ 시장 변곡점 맞나

인기뉴스

1

美 하원, 7월 셋째 주 ‘가상자산 3대 법안’ 일괄 심의 예고

미국 비트코인
2

트럼프의 ‘빅 뷰티풀 법안’ 업계별 희비 엇갈려

트럼프, 관세 행정명령 서명
3

업비트·빗썸, 스트라이크(STRIKE) 코인 거래유의종목 지정

업비트
4

트럼프의 ‘빅 뷰티풀 법안’ 하원 통과…5일 서명 예정

트럼프, 관세 행정명령 서명
5

미 하원, ‘빅 뷰티풀 법안’ 최종 표결 예정

미국 월스트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