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이토로, 갤럭시디지털, 앤탈파, 앰버, 코어위브, 스트라이브 상장
상장사들 AI·ETF·비트코인 재무 전략 사업 등 영위
2025년 미국 증시에 신규 상장한 일부 가상자산 관련 기업들이 주가 급등세를 보이며, 비트코인과 대부분의 알트코인 수익률을 앞질렀다.
비트코인이 올해 들어 약 9.7% 상승한 가운데, 올해 나스닥에 입성한 이토로, 갤럭시디지털, 앤탈파, 앰버, 코어위브, 스트라이브 등 신규 상장 기업들이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특히 트라이브는 반기 만에 주가가 10배 가까이 폭등했으며, 앰버는 1분기 기준 8배 가까이 상승했다.
이들 기업은 ▲기관 대상 디지털 자산 서비스 ▲비트코인 기반 금융 전략 ▲AI 기반 수익 모델 ▲ETF 라인업 보유 등의 특성을 갖고 있다.
스트라이브(ASST)
스트라이브는 5월 7일 나스닥 상장사와 합병해 우회 상장에 성공했다.
트럼프 진영과 연계된 자산운용사로, 비트코인을 기업 자산의 기준 수익률(Hurdle Rate)로 삼고 있으며, 비트코인 기반 전환사채 ETF 출시도 추진 중이다.
상장 후 5개월간 주가가 10배 이상 급등했다.
앰버 그룹(AMBR)
앰버 프리미엄은 홍콩 기반 앰버 그룹의 기관 대상 서비스 부문으로, 3월 12일 나스닥에 상장했다. 기업 대상 디지털 자산 관리 및 결제 솔루션에 집중하고 있으며, 2024년엔 총수익 3,280만달러(약 460억원)를 기록했다. 아직 적자 상태지만, 신사업 부문의 수익성이 빠르게 개선되고 있고, 시장에서는 2025년 1분기 매출은 1,250만 ~ 1,350만달러(약 180억 ~ 190억원)로 전망하고 있다.
코어위브(CRWV)
코어위브는 GPU 기반 AI 클라우드 기업으로, 과거에는 암호화폐 채굴 인프라 기업이었다.
3월 28일 나스닥에 상장해 15억달러(약 2.1조원)를 투자 유치했고, 상장 당시 엔비디아가 2.5억달러(약 3500억원)를 투자해 주목받았다. 1분기 매출은 9.82억달러(약 1조3700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420% 증가했다. 마이크로소프트, 오픈AI 등과의 장기 공급계약을 통해 2024년 매출의 62%를 확보한 상태다.
이토로(ETOR)
이토로는 5월 14일 나스닥에 상장됐으며, 공모가는 52달러, IPO를 통해 약 3.12억달러(약 4370억원)를 조달했다.
2024년 총매출은 126.4억달러(약 17조7000억원)로, 이 중 121.47억달러(약 17조원)가 암호화폐 거래 수익이었다. 비암호화 자산 및 사용자 수수료 수익도 안정적으로 발생했으며, 연간 순이익은 1.92억달러(약 2700억원)로 전년 대비 12배 이상 증가했다.
갤럭시 디지털(티커: GLXY)
갤럭시 디지털은는 지난 5월 16일(현지시간) 나스닥에 상장됐다.
갤럭시 디지털은 고금리 구조의 비트코인 대출, ETF, 기관 거래, 인프라 서비스 등을 운영하는 종합 디지털 금융사다.
올해 1분기 기준 비트코인 현물 ETF BTCO, 이더리움 현물 ETF QETH 등으로 구성된 자산관리(AUM) 규모는 57억달러(약 8조원)에 이른다. 비트코인 대출과 거래, 인프라 등에서 분산된 수익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AI 데이터센터 ‘헬리오스’(Helios)를 통해 중장기 성장동력도 확보하고 있다.
1분기 영업이익은 350만달러(약 49억원)였으나, 디지털 자산 평가손실과 채굴 자산 감액으로 2.95억달러(약 4130억원)의 순손실이 발생했다.
앤탈파(ANTA)
앤탈파는 지난 5월 14일 나스닥에 상장됐다. 공모가는 주당 12.80달러로 총 385만주를 발행했다.
앤탈파는 비트코인 채굴 산업 전반에 구조화 금융 및 리스크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채굴자와 장비 제조사 등을 대상으로 장비 대출, 담보 관리, 공급망 금융, 기술 서비스 등을 운영한다.
2024년 안타알파의 매출은 4,745만달러(약 664억원)로 전년 대비 321%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318만달러(약 45억원), 순이익은 439만달러(약 61억원)를 기록했다. 기술 기반 수수료 수익과 플랫폼 수익이 고르게 성장했으며, 총자산은 12.5억달러(약 1조7500억원)로 전년 대비 71% 증가했다.
올해 나스닥에 상장한 이들 암호화폐 신흥주들은 각자의 독립된 사업모델을 기반으로 기존 암호화폐 시장 대비 더 빠른 수익성과 구조적 확장을 실현 중이다. 기관 유입, ETF 확산, AI 협력, BTC 기반 수익 구조 등 다양한 혁신 전략이 이들의 공통된 성장 요인으로 꼽힌다.
기업명 (티커) | 상장 방식 | 상장일 | 공모가 | 5월 17일 종가 | 주가 변동률 |
---|---|---|---|---|---|
스트라이브(ASST) | 역합병 상장 | 2025년 5월 7일 | 0.61달러 | 6.08달러 | +898% |
앰버(AMBR) | 역합병 상장 | 2025년 3월 12일 | 1.22달러 | 10.91달러 | +794% |
코어위브(CRWV) | 전통 IPO | 2025년 3월 28일 | 40달러 | 66.00달러 | +65% |
이토로(ETOR) | 전통 IPO | 2025년 5월 14일 | 52달러 | 64.15달러 | +23.3% |
갤럭시디지털(GLXY) | 구조 변경 직접 상장 | 2025년 5월 16일 | 23.5달러 | 22.8달러 | -2.98% |
앤탈파(ANTA) | 전통 IPO | 2025년 5월 14일 | 12.80달러 | 12.02달러 | -6% |
비트코인은 2025년 1월 1일 기준 가격은 94,614달러였으며, 현재 103,329달러(약 1억4670만원)로 약 9.5%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