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일러 파이낸스, 2500억원 올해 최대 규모 디파이 해킹 피해

  • 플래시 론 악용해 eDAI·dDAI 조작…법 집행·보안 전문가와 협력 대응 중

3월 14일, 이더리움 기반 대출 프로토콜 오일러 파이낸스에서 약 1억9,600만 달러(약 2,580억 원) 규모의 자산이 해킹으로 유출됐다. 이는 2023년 기준 최대 규모의 디파이(탈중앙화 금융) 해킹 사건으로 기록됐다.

공격자는 다이(DAI), 래핑된 비트코인(WBTC), 스테이킹된 이더리움(StETH), USD코인(USDC) 등을 네 차례에 걸쳐 탈취했으며, Aave와 Balancer에서 플래시 론으로 수천만 달러를 차입한 뒤, 오일러 파이낸스의 대출 구조를 조작해 공격을 감행했다.

보안 분석 업체 블록섹에 따르면, 해커는 오일러 파이낸스의 eToken(보안 토큰)과 dToken(부채 토큰) 시스템을 활용해 담보 없이도 과도한 대출이 가능하도록 구조를 왜곡시켰다. 이로 인해 예치금의 최대 10배 이상 자산을 끌어낼 수 있었으며, 최종적으로 1억9,560만 eDAI와 2억 dDAI를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온체인 데이터 분석 결과, 해커는 실제로 약 1억9,600만 달러 규모의 자산을 외부로 이동시킨 것으로 확인됐다.

오일러 파이낸스는 사건 발생 직후, “보안 전문가 및 법 집행 기관과 협력하고 있으며 사용자 피해 복구 방안을 강구 중”이라고 밝혔다.

오일러 파이낸스는 지난해 FTX, 코인베이스, 점프, 제인 스트리트, 유니스왑 등으로부터 약 3,200만 달러 규모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특히 유동성 스테이킹 파생상품(LSD) 분야에서 스테이킹 자산의 유동성을 극대화하는 시스템으로 주목받아 왔다. 해당 시장은 디파이 내 고정 자산의 약 20%를 차지하고 있다.

이번 사건은 플래시 론 기반의 구조적 공격 방식의 위험성을 다시금 부각시킨 사례로, 디파이 전반에 걸친 보안 재점검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2일 전

美 당국, 디파이 포함 암호화폐 중개 보고 의무 규정 철회

25.07.05

디파이 수수료, 팬케이크스왑 영향으로 4월 이후 상승세

25.06.21

코인마켓캡, ‘지갑 인증’ 유도하는 악성 팝업 발생…조사 진행중

25.06.20

이더리움 생태계 디파이 프로젝트 ‘기관 적합성 평가’ 프레임워크 공개

13시간 전

머스크, 트럼프에 ‘앱스타인 문건 공개’ 재차 촉구

17시간 전

노보그라츠, ‘피터 시프’의 비트코인 비판 10년째 오판 지적

18시간 전

트럼프 “관세 인내심 끝났다”…각국에 협상 압박 수위 높여

18시간 전

펌프펀 PUMP 토큰 판매 종료…바이비트·크라켄 일부 참가자 대상 환불·에어드랍 발표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도널드 트럼프

트럼프, 현재까지 총 25개국에 상호관세 부과 서한 발송

28시간 전
비트코인

주간 공개 기업 35곳 비트코인 매수 발표, 총 4700BTC 매입

29시간 전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38시간 전
이더리움 ETF

7/12 미국 이더리움 현물 ETF: 2826억원 순유입

38시간 전
비트코인 현물 ETF

7/12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 1조4177억원 순유입

39시간 전

인기뉴스

1

머스크, 트럼프에 ‘앱스타인 문건 공개’ 재차 촉구

13시간 전
성범죄자 제프리 앱스타인
2

주간 공개 기업 35곳 비트코인 매수 발표, 총 4700BTC 매입

29시간 전
비트코인
3

노보그라츠, ‘피터 시프’의 비트코인 비판 10년째 오판 지적

17시간 전
갤럭시 디지털 마이크 노보그라츠, 설립자 겸 CEO.
4

펌프펀 PUMP 토큰 판매 종료…바이비트·크라켄 일부 참가자 대상 환불·에어드랍 발표

18시간 전
펌프펀(Pump.fun)
5

트럼프 “관세 인내심 끝났다”…각국에 협상 압박 수위 높여

18시간 전
트럼프, 관세 행정명령 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