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디지털자산 투자 상품: $22억 순유입…6주 연속

주간 디지털자산 투자 상품: $22억 순유입
코인쉐어스

코인쉐어스의 주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주 디지털 자산 투자 상품에 22억 달러(약 2조 9,700억 원)가 순유입됐다. 이는 9월 금리 인하 이후 총 유입액이 117억 달러(약 15조 8,000억 원)며, 올해 누적 유입액은 335억 달러(약 45조 3,000억 원)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이번 주 초에는 30억 달러(약 4조 700억 원)의 자금이 유입됐으나, 비트코인 시세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주 후반에는 8억 6,600만 달러(약 1조 1,700억 원)의 자금이 유출됐다.

비트코인의 상승세와 맞물린 최근 시장 활동으로 디지털 자산의 총 운용 자산(AuM)은 주 초에 1,380억 달러(약 186조 6,000억 원)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코인쉐어스는 이러한 투자 증가가 완화된 통화 정책과 미국 공화당의 선거 압승이라는 두 가지 요인에 의해 촉발된 것으로 분석했다.

지역별 투자 동향

지역별로는 미국에서 22억 달러(약 2조 9,700억 원)가 유입돼 가장 큰 자금 유입이 있었으며, 홍콩(2,700만 달러, 약 365억 원), 호주(1,800만 달러, 약 240억 원), 캐나다(1,300만 달러, 약 176억 원)가 그 뒤를 이었다. 반면 스웨덴(5,800만 달러, 약 785억 원)과 독일(680만 달러, 약 92억 원)에서는 차익 실현으로 인한 자금 유출이 발생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투자 동향

비트코인은 14억 8,000만 달러(약 2조 원)의 자금이 유입되며 강세를 이어갔다. 그러나 최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이후 4,900만 달러(약 663억 원)가 숏 비트코인 투자 상품으로 유입되며 투자자들의 일부 차익 실현 심리가 반영됐다.

이더리움은 6억 4,600만 달러(약 8,700억 원)가 유입되며 최근 부진에서 벗어났다. 코인쉐어스는 이더리움 핵심 개발자 저스틴 드레이크의 빔 체인(Beam Chain)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제안과 미국 선거 결과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기타 주요 알트코인

솔라나는 2,400만 달러(약 325억 원)의 유입으로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였다.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7/8 미국 이더리움 현물 ETF: 833억원 순유입

7/8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 2940억원 순유입

비트코인, 주말 하락 딛고 109K 회복…트럼프 관세 시한 연기에 안도

코인베이스 CEO “美 암호화폐 클래리티 법안 다음 주 통과 기대”

美 SEC, 암호화폐 ETF 상장 절차 간소화 추진과 알트코인 ETF 가시화

REX 솔라나 스테이킹 ETF, 누적 560억원 순유입

a16z, 컴파운드(COMP) 코인 전량 매도…코인베이스로 이체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트루스소셜 / 트럼프미디어

트루스소셜, 가상자산 블루칩 ETF 신청…CRO 20% 급등

그레이스케일

그레이스케일, 디지털자산 펀드에 온도(ONDO)·헤데라(HBAR) 코인 추가

블랙록

블랙록 ETF 비트코인 보유량 70만개 돌파…美 ETF 중 55% 차지

인기뉴스

1

그레이스케일, 디지털자산 펀드에 온도(ONDO)·헤데라(HBAR) 코인 추가

그레이스케일
2

일론 머스크, AI 챗봇 ‘그록 4’ 공개 예정

일론 머스크 AI 그록
3

두나무, 스테이블코인 66건 상표 출원

업비트
4

앱토스 RWA 예치금 한달간 56%↑…총 7300억원 돌파

앱토스 네트워크 RWA 예치금 - RWA.XYZ
5

카이아, 인도네시아 중소기업에 블록체인 기반 대출 지원

카이아(KA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