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랭클린 템플턴 “밈코인 봉크(BONK), 솔라나 강한 상관관계”

밈코인 봉크(BONK)
밈코인 봉크(BONK)

프랭클린 템플턴은 14일 밈코인과 기반 네트워크 간의 상호작용에 주목한 보고서를 공개했다. 특히 솔라나 네트워크에서 발행된 봉크(BONK)와 솔라나 자체 활성화 수치 사이의 상관관계를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4분기 봉크 시세가 급등하던 시기 솔라나 네트워크의 일차적 활성 지갑 주소 수가 전 분기 대비 7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23년 12월 봉크의 가격이 빠르게 상승하던 시점에 솔라나 네트워크의 활동 지표도 동시에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프랭클린 템플턴은 밈코인이 기술적 이해가 비교적 덜 요구되며, 가격이 낮아 투자자들에게 진입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동시에 가격 변동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밈코인 시장 확대

밈코인은 2024년 3월 이후 다른 가상자산 카테고리보다 높은 상승률을 보이며 시장 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QCP 캐피털 등은 개인 투자자 중심의 과열된 투기적 매입 가능성을 지적하고 있다.

이와 함께, 로빈후드 크립토와 비트멕스는 최근 솔라나 기반 밈코인 봉크를 상장했다.

봉크(BONK) 개요

봉크는 2022년 12월에 처음 발행된 밈코인으로, 시바이누(SHIBA INU)에서 모티브를 얻어 제작됐다. 현재 다수의 솔라나 기반 NFT 프로젝트에서 결제 수단으로 채택되고 있다.

밈코인 시장 주요 동향

  • D3 글로벌은 8일, 시바이누 기반 도메인 서비스 ‘SHIB Name Token’을 론칭했다. 론칭 당일 ‘my*shib’ 도메인은 약 300만 원(약 2,255달러)에 낙찰됐다.
  • 솔라나 기반 밈코인 도그위프햇(WIF)은 로빈후드 상장 후 5일 내 바이낸스에도 상장됐다.

밈코인 정의

밈코인은 인터넷상에서 유행하는 밈을 기반으로 탄생한 가상자산을 의미하며, 대표적으로 도지코인(DOGE)과 시바이누(SHIB)가 있다. 도지코인은 일론 머스크의 언급을 계기로 급부상했으며, 시바이누는 2020년 이를 바탕으로 출시됐다.

출처 : 프랭클린 템플턴
✉ eb@economybloc.com

└관련뉴스📨

美 엑스알피 ETF 둘째날 3572억원 순유입, 솔라나 현물 ETF 177억원 순유입

반에크 솔라나 현물 ETF 상장 임박, 美 SEC에 8-A 신청서 제출

피규어, 솔라나 기반 공공 부채 토큰 ‘YLDS’ 출시

지토 랩스, 솔라나 ‘BAM’ 공개…온체인 거래 투명성·공정성 강화

인기뉴스

1

비트마인 톰 리 “가상자산 시장 정상화까지 6~8주 걸릴 수 있어”

펀드스트랫 캐피털 공동 창업자 톰 리
2

주간 거시경제 일정…엔비디아 실적 발표·9월 고용지표 주목

미국 증시 / 프리픽
3

디지털자산 · 코인 주요소식 헤드라인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4

아서 헤이즈, 이더리움 포함 일부 알트코인 $500만 매도

아서 헤이즈
5

‘피터 틸’ 주도 파운더스 펀드, 비트마인 지분 절반 매각…254만주 보유

비트마인 이머전
6

솔라나 재무 기업 포워드 인더스트리스, 총 691만0568 SOL 보유

포워드 인더스트리
7

세일러 “로켓 탈려면, 압력 버텨야”…비트코인 추매 시사

마이클 세일러
포워드 인더스트리
스트래티지(MSTR)
이코노미블록 디지털자산 주요소식

비트코인 도미넌스(BTC.D) 차트

이더리움 도미넌스(ETH.D) 차트

알트코인 도미넌스 차트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

미국 이더리움 현물 ETF

알트코인 시즌 지수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