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어 1 블록체인 리스크(Lisk)가 이더리움 네트워크로 전환하며, 레이어 2(L2) 솔루션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다.
이더리움 통합 및 L2 솔루션 개발
리스크는 이더리움 생태계 내에서 L2 솔루션으로 자리 잡으며, 현실 자산(RWA), 오프체인 자산(OCA), 분산형 물리적 인프라 네트워크(DePIN) 문제 해결에 집중할 예정이다.
옵티미즘 슈퍼체인 참여
리스크는 OP Stack을 활용해 옵티미즘 슈퍼체인(Optimism Superchain) 개발에 기여하고 있으며, Gelato의 Rollup-as-a-Service(RaaS) 플랫폼을 통해 OP 체인을 쉽게 배포할 수 있게 됐다. 이를 통해 리스크 개발팀은 슈퍼체인 생태계 구축과 자체 블록체인 솔루션 개발에 집중할 수 있다.
옵티미즘 슈퍼체인은 보안과 통신 계층을 공유하는 확장형 네트워크로, 옵티미즘, 코인베이스의 Base, 바이낸스의 opBNB 등이 포함되어 있다.
LSK 토큰 마이그레이션 및 거버넌스 계획
리스크의 전환 과정에는 기존 LSK 토큰을 이더리움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는 작업이 포함되며, 기존 보상 공유 메커니즘은 유지된다.
또한, LSK 토큰은 향후 Lisk DAO의 온체인 거버넌스에서 활용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리스크는 새로운 체인 활성화를 위해 LSK 토큰 에어드롭을 진행할 계획이며, 메인넷 출시 전에 세부 내용이 공개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