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코인 인프라 강화·디파이 유동성 전환
레이어2 스타크넷이 서클의 네이티브 USDC와 CCTP V2를 도입하며 디파이(DeFi) 인프라 전환에 나선다고 23일 공지했다. 스타크넷은 세계 최대 규제형 스테이블코인인 USDC와 안정적인 크로스체인 전송 기능을 확보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현재 스타크넷은 서드파티 계약을 기반으로 한 브릿지드 USDC(USDC.e)를 지원하고 있으며, 향후 생태계 내 디앱과 협력해 브릿지드 USDC 유동성을 네이티브 USDC로 점진적으로 이전할 계획이다. 기존 브릿지는 그대로 운영되며, 브릿지드 USDC는 블록 탐색기·앱 인터페이스·문서에서 ‘USDC.e’로 구분 표시된다.
네이티브 USDC는 서클의 계열사를 통해 발행되며, 기존처럼 한 체인에 토큰을 잠그고 다른 체인에서 래핑 형태로 발행하는 대신 ‘소각 후 발행(burn-and-mint)’ 모델을 적용한다. 이를 통해 스타크넷과 CCTP V2 지원 블록체인 간 USDC 이동 시 별도 중개자나 래핑 자산 없이 직접 전송이 가능해진다.
이용자 입장에서는 보다 안전하고 단순하며 빠른 전송이 가능해지고, 브릿징 과정의 리스크와 복잡성이 줄어든다. 또한 네이티브 USDC 도입으로 스타크넷의 비트코인 기반 디파이(BTCFi) 생태계가 강화돼, 비트코인 유동성과 온체인 달러 유동성이 결합된 효율적 시장 조성이 가능해진다.